[소비쿠폰 색깔 논란] "처음부터 같게 하지…" 광주시 행정에 대통령도 질타

최근 광주에서 배부된 민생 회복 소비쿠폰 카드 색깔 때문에 차별 논란이 불거지며, 이재명 대통령까지 질타에 나섰습니다. 결국 광주시는 급히 모든 카드를 빨간색 스티커로 통일하며 사태를 수습 중입니다. 하지만 그 과정에서 일선 공무원들은 과로에 시달리는 상황까지 겪어야 했습니다.

소비쿠폰 색깔이 뭐가 문제였나?
광주시는 복지 대상별로 소비쿠폰의 카드 색깔을 다르게 제작했습니다:
기초생활수급자: 남색 카드 (43만 원)
차상위/한부모가족: 연두색 카드 (33만 원)
일반 대상자: 빨간색 카드 (18만 원)
하지만 이 카드 색상 차이로 인해 소득 수준이 외부에 그대로 노출되는 문제가 발생했습니다. 카드를 사용하는 순간, 상대적으로 낮은 소득계층이라는 것이 드러나는 구조였던 것이죠.

대통령까지 지적한 행정 감수성 부족
이 같은 설계에 대해 이재명 대통령은 인권 감수성이 부족했다며 광주시를 강하게 질타했습니다. 이에 광주시는 전날 오후 급히 모든 카드에 빨간색 스티커를 붙여 색상을 통일하기로 결정했습니다.
하지만 문제는 그 다음이었습니다.

밤샘 작업에 과중한 업무까지…공무원들 ‘한숨’
광주의 한 행정복지센터에서는 밤 9시부터 자정까지 300장 이상의 카드에 수작업으로 스티커를 부착했고, 다음 날 이른 아침 다시 출근해 지급 업무를 이어갔습니다.
카드 번호를 네임펜으로 직접 적고, 스티커가 튀어나오지 않게 붙이는 작업까지… 빠르게 할 수도 없는 고된 업무였습니다.
이미 수해 복구 현장 지원까지 병행하고 있었던 일선 공무원들은 말 그대로 탈진 직전의 상태였습니다.

시민 반응은?
시민들 역시 분통을 터뜨렸습니다.
> "애초에 똑같은 색으로 했으면 이런 논란도 없었을 것 아닙니까."
– 김 모 씨(56세)
> "카드 쓸 때마다 위축됐을 어려운 분들 생각하면 너무 안일한 행정이었어요."
– 박 모 씨(71세)

이 사태는 단순한 행정 실수 이상의 교훈을 남깁니다. 형평성과 인권 감수성은 언제나 정책 설계의 최우선이 되어야 합니다. 그리고 그 뒷수습은 언제나 현장의 공무원들 몫이라는 현실 또한 다시금 되새겨야 합니다.